머니투데이 최태범 기자

“배달로봇이 카메라로 사물을 인식해 주변 영상을 획득해야 하는데 개인정보보호법에 저촉될 수 있다. 로봇이 도로교통법상 차량인지 여부도 모호해 주행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있어 각종 제약이 생긴다.”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 중인 스타트업 ‘뉴빌리티’의 이상민 대표는 지난 8일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배달로봇의 완벽한 자율주행 데이터를 만들어야 하는데 각종 규제 때문에 쉽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 나이로 25세인 이 대표는 2017년 뉴빌리티를 설립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게 부담이 큰 배달 비용을 낮추겠다는 목표로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배달로봇 개발에 착수해 1년 안으로 상용화한다는 목표에 다가가고 있다.’

자율주행 로봇의 ‘눈’에는 대부분 3D 라이다(LiDAR) 센서가 장착된다. 라이다 센서는 매우 비싸 로봇 완제품 비용도 수천만원대로 올라간다. 뉴빌리티는 라이다와 유사한 정밀도를 갖춘 카메라 기반 로컬라이제이션(로봇의 위치 추정) 기술을 개발했다.

타사 자율주행 로봇이 3000만원대 이상에 판매되는 반면 뉴빌리티의 카메라 기반 로봇은 500만원 이하 가격에서 제작 가능하다. 이 대표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미국 포브스지가 선정한 ‘2021년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배달로봇 업계 공동 토론회 추진, ‘규제 충돌’ 사전 해소

강훈식 의원이 이날 이 대표와 만난 것은 청년 스타트업 대표와 공감·소통하며 현장 목소리를 듣고, 생생함이 살아있는 법안과 정책을 입안하기 위해 이어오고 있는 ‘경청(傾聽+경제청년)’의 일환이다. 강 의원은 국회 스타트업 지원센터 ‘유니콘팜’ 대표의원을 맡은 뒤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니콘팜은 민주당 젊은 의원 10명이 지난해 12월 결성한 조직으로, 스타트업 성장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정책수립과 입법을 주도한다. 강 의원은 이 대표가 제기한 배달로봇 관련 규제 문제에 대해 “규제를 없앨 수는 없다. 어떻게 (시장진입) 허들을 낮추고 합리적인 규제를 만들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그런 부분을 찾기 위해 경청과 유니콘팜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1년 뒤 배달로봇을 상용화하려면 지금부터 제도 개선을 준비해야 한다. 제도적인 문제를 풀지 못한 채 만약 전통산업과 충돌하게 되면 의외의 결과가 나오게 된다. ‘타다’ 사례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대표는 정부의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 관련 스타트업 발굴의 초점이 ‘양보다 질’ 중심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도 지적했다. 강 의원은 팁스를 주관하는 중소벤처기업부에 이런 의견을 전달해 최적의 지원책을 찾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강 의원은 뉴빌리티를 비롯해 현대자동차·배달의민족·LG전자(로보티즈) 등 국내 배달로봇 운영·개발 업체들과 공동 토론회를 열어 더욱 다양한 의견을 듣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필요한 규제는 존재해야 하지만 유연한 행정과 합리적인 규제를 만들어야 한다”며 “사전 준비를 통해 조기에 규제와의 충돌이나 전통산업과의 충돌을 부드럽게 풀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